회사에서 퇴직을 하고 난 후에 퇴직금을 받지 못했을때, 특별한 상황이 생겨 청구를 하지 못하고, 퇴직금 청구권 소멸시효인 3년이 지났다면어떻게 해야 할까? 소멸시효의 만료 시점을 계산하는 방법등까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임금 및 퇴직금채권의 소멸시효에 관하여 「근로기준법」 제49조 및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10조에서 각 3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퇴직금도 일종의 후불적 임금으로서 위 규정의 적용을 받게 되어 그 소멸시효 기간은 3년이 됩니다.
그리고 소멸시효기산점에 관하여 「민법」 제166조에서 소멸시효는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로부터 진행한다고 규정하고, 「근로기준법」 제36조에서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하고,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함께 확인하면 좋은 자료>
▶ 개인 회생 파산의 차이점 - 어느 것이 적합 할까요?
퇴직금 청구권 소멸 시효 - 퇴직한 다음날인가 퇴직후 14일 후인가
그러므로 퇴직금청구권에 대한 소멸시효의 기산점을 퇴직한 다음 날부터로 보아야 할 것인지, 아니면 퇴직 후 14일이 지난 다음 날로 보아야 할 것인지 문제되는데, 이에 관련된 판례를 보면, 소멸시효의 기산점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때’는 권리를 행사함에 있어서 이행기 미도래, 정지조건 미성취 등 법률상의 장애가 없는 경우를 말하는 것인데, 근로기준법 제36조에서 정한 금품청산제도는 근로관계가 종료된 후 사용자로 하여금 14일 내에 근로자에게 임금이나 퇴직금 등의 금품을 청산하도록 하는 의무를 부과하게 됩니다.
이를 불이행하는 경우 형사상의 제재를 가함으로써 근로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지, 사용자에게 위 기간 동안 임금이나 퇴직금지급의무의 이행을 유예하여 준 것이라고 볼 수는 없으므로, 이를 가리켜 퇴직금청구권의 행사에 대한 법률상의 장애라고 할 수는 없고, 따라서 퇴직금청구권은 퇴직한 다음 날부터 행사할 수 있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위 사안의 경우에도 甲은 퇴직한 다음 날부터 3년 이내에 소송을 제기하여야 할 것입니다.
<함께 확인하면 좋은 자료>
▶ 개인 회생 파산의 차이점 - 어느 것이 적합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