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정으로 인해 급여를 지급하지 못 할 때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

by 돈이란 무엇일까 2023. 3. 21.
반응형


기본적으로 급여는 지급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빌리고, 빌려서 급여 지급을 하였지만 그래도 불가능할 때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오늘은 사정으로 인해서 급여 지급을 하지 못할 때 근로기준법 위반 여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제43조는

①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그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또는 통화 이외의 것으로 지급할 수 있다.

②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임시로 지급하는 임금, 수당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금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36조는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14일 이내에 임금·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참고 자료>

▶ 퇴직금 청구권 소멸시효에 대해 (만료 시점을 계산하는 방법)

▶ 임금 및 퇴직금, 해고 관련 서식 양식 자료 모음

▶ 개인 회생 파산의 차이점 - 어느 것이 적합 할까요?

사정으로 인해 급여를 지급하지 못할 때 근로기준법 위반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제109조 제1항은 “위 규정에 위반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조 제2항은 “위 규정을 위반한 자에 대하여는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와 다르게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임금이나 퇴직금을 지급할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 「근로기준법」 제36조, 제43조의 각 위반범죄의 책임조각사유(責任阻却事由)가 되는지에 관하여 판례는 “사용자가 기업이 불황이라는 사유만을 이유로 하여 임금이나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체불하는 것은 근로기준법이 허용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모든 성의와 노력을 다했어도 임금의 체불이나 미불(未拂)을 방지할 수 없었다는 것이 사회통념상 긍정할 정도가 되어 사용자에게 더 이상의 적법행위를 기대할 수 없다거나, 사용자가 퇴직금 지급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으나 경영부진으로 인한 자금사정 등으로 도저히 지급기일 내에 퇴직금을 지급할 수 없었다는 등의 불가피한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사유는 근로기준법 제36조, 제42조(현행 제43조) 각 위반범죄의 책임조각사유로 된다.”라고 하였습니다.

정리해 보겠습니다. 사정으로 인해서 급여를 지급하지 못할 때 근로기준법에 위반은 됩니다만, 근로자들과 형사합의를 하여 근로자들이 수사기관에 형사처벌불원의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 처벌을 면할 수도 있겠으나 합의가 되지 아니할 때에는 체불임금 등을 지급하기 위하여 소유의 주택을 매도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음을 주장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참고 자료>

▶ 퇴직금 청구권 소멸시효에 대해 (만료 시점을 계산하는 방법)

▶ 임금 및 퇴직금, 해고 관련 서식 양식 자료 모음

▶ 개인 회생 파산의 차이점 - 어느 것이 적합할까요?

반응형

loading